작은 집에 많은 식구들이 모여 살다보니, 제일 어린 아이였던 저는 노상
어른들의 담화 자리에 끼어, 거기서 놀고, 잠들고 했습니다.
이해 할 수 없는 이야기들을 그냥, 마음대로 해석 해 가면서, 귀로 들어 오는 대로.
말도 안되게 짜맞추어 습득했던 그 이야기들이, 아직 까지도 생생이 남아 있었습니다.
외삼촌은 몸도 약하신데다가, 세상일에도 그리 적극적이지 않으셨고, 술을 많이 드셔서,
좀 염세적 이지 않으셨을 까 짐작해봅니다.. 그분이
" 죽음이란, 그것이 무엇인지 알수 없어 두려운 걸꺼야,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아이의 두려움과 같은.."
하신 말이 왜 잊혀지지 않는 것일까, 저는 제가 무서워 하던 방 한구석의 앉은뱅이 책상밑의 어둠을 힐끗 보면서, 죽음을 연상했습니다.
언니들이 놀리느라고, 귀신, 재래식 화장실에서 변기통 밑에서 쑥 올라오는 손, 밤 골목에 데굴데굴 쫒아오는 달걀귀신,
이야기를 하다가, 잔뜩 겁먹어 긴장이 극에 달할 때 왁 하면서, 깜짝 놀래키고,
여름 한 밤중에 전설의 고향, 원귀, 구미호, 산발한 소복의 여인, 한 그런 옛날이야기들은
공포와 안심을 동시적으로 경험하는 일종의 놀이로 아련한 향수 조차 느낍니다.
70-80년대, 한참, 악령에 대한 공포물이 유행했습니다. 엑소시스트의 흉칙한 분장, 피가 튀고, 신체를 훼손하는
범죄공포영화는 공포를 느끼기 이전에 혐오스러워 지금까지도 절대 안보는 영화아이템입니다.
그러나 빠져나갈 수 없는 악의 존재에서, 인간이 느끼는 무력함을 주제로 하는 영화들,
고교때 보았던 오멘과 같은 류는, 그 세련된 , 암시적인 인간정신의 표현 때문에 스킵할 수 없어 보는데..
나이들 수록, 좀 힘에 부칩니다. 영화를 보는 동안에, 온몸이 쑤시는 동통까지 느껴 보다 말고 뛰어나오는 경험이,
최근, 배트맨 시리즈 다크나이트와 라이즈, 그리고 케빈에 대하여를 보면서 그랬습니다.
죽음 그자체는 인간의 생명의 한사이클의 중요한 축이며, 만약에 혼이 있다해도, 살아 있는 사람의 정신과 무어그리 다를게 있을까,
해서 , 사랑과 영혼이나, 캐스퍼류, 죽은 줄도 모르고 이승에서의 삶을 그대로 진행한다는 그런 주제들이 공포보다는 공감이 됩니다만,
극대화하고 고립적인 , 인간의 어떠한 의지와 노력으로도, 막기 어려운 악의 존재와 그 파워는 삶에 있어서, 가장 무서운 상상이 아닐까 ..
흔히 정신질환자( 특히 조현증) 들을 그 두려움의 존재의 소재로 삼는 일이 많은데, 제가 가장 분개하는 오해입니다.
그들은 좀 현실과 동떨어진, 감각과 사고의 체계를 갖고 있어, 보통의 커뮤니케이션이 안된다 해도,
악을 수행하고 지속할 만큼, 그렇게 조직적이고 집중적인 정신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우리 보통의 사람들보다, 집요하고, 자기중심적인 이기심을 가질 수 조차 없는 사람들입니다.
만약에 사고를 일으켰다 해도 그 확률은 보통 사람들의 수준에 비슷하거나 미치지 못할 것입니다.
케빈에 대하여, 그 원제가 we need to talk about kevin 이랍니다. 힘들어도, 말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감상평들을 리뷰해 보았습니다만.
저는. 두가지만.
1. 아찬차 스님의 말을 생각합니다. 분노의 마음에 먹이를 주지 말라..
그 어머니는 실은 아무것도 시도 하지 말았어야 합니다. 아버지와 달리, 그 어머니가 느꼈던 자신에게만 악을 행하는 아들..
이것은 심리적인 느낌입니다. 아버지는 그리 심각하지도 깊이 들여다보지도 않아, 편히 대했던 것이고, 어머니가 쏟은
사랑이든 관심이든 모성에 대한 책임감이든 어떤 정신적 에너지도, 왜곡되고 뒤틀리고 감정이 없는 악마의 정신에 먹이만 주는 꼴입니다.
물론 현실의 생활에서 이런 엄청난 불행의 경우가..다행히 .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간혹 지나친 사랑의 과신, 맹신이 오히려 독이 되는 예는 아주 많이 있습니다.
2. 왜 이런 동떨어진 요해 불가능한 악의 존재가 생겨나는 것일 까,
아무도 모릅니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모든 것이 인연이며, 인과 응보라 합니다.
죄책감을 주자고 하는 것은 아닐 겁니다. 수백, 천년 인간이 살아온, 전생에서, 심어진 한 씨앗일 겁니다.
저는 영화의 초반에 나오는 토마토 축제의 불길한 붉은 색에서 그런 느낌이 들었습니다.
cannivalism ...